실전투자! 리포트 제대로 보기
![[실전투자! 리포트 제대로 보기] 증권 리포트, 짧은 시간 콕 집어 볼 수 있는 치트키는?](/download?file=contents/2022-12-07/3f32423be88d4b4d953b814e2070cd1a.png)
[실전투자! 리포트 제대로 보기] 증권 리포트, 짧은 시간 콕 집어 볼 수 있는 치트키는?
등록: 2022.12.07
증권 리포트, 짧은 시간
콕 집어 볼 수 있는 치트키는?
![](/download?file=CKEDITOR%2F2022-11-16%2Fe98cf851e9e64404b68ec0849997a8a0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g5/MDAxNjcwMjE4NTA2MzA1.PEqSiw-Zs86HnQON-I92PSscGxJ5Uu6BE6XSmSInCEwg.XDuMg5Y_vpWo5uy3L8qdI_-zP3kQ4XAFgkXUQJBAGs4g.PNG/05_01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A3/MDAxNjcwMjE4NTExNDk1.IxKuvLJDNY4viBStg_9QvZDhbyqqID9L-Z95hkVTHrwg.wQHfzNwIf8kXZUH5j_beLll7ruQ3AEg64fwYf4_MMnwg.PNG/05_02.png)
![](/download?file=CKEDITOR%2F2022-11-16%2Fe98cf851e9e64404b68ec0849997a8a0.png)
리포트를 읽는 것이 투자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겠는데, 그렇게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는 개인투자자는 많지 않습니다.
그래서인지 “짧은 시간에 핵심만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?”, “어떤 부분을 볼 때는 이런 부분을 유의해서 집중적으로 봐라.” 정도의 족집게 같은 족보를 원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.
이번 시간에는 투자자분들이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정기 발간 리포트와 리포트를 볼 때 유의해서 봐야 할 3가지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jAz/MDAxNjcwMjA1MDA4NzA2.GuXJRaduyPGDkYAnFN678jAdj9lWVp59FwODbNsJbdwg.1fL4dBzMlJND6M7IJD1DesiTTiu0UImkyiqoPNfk-tcg.PNG/05_03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NTEg/MDAxNjcwMjE4NTY0NTYw.B5YZ8YT-ighnXEfbv8EHjuXWDCOkR0X15BUwoRpVkXsg.SdTL28Vm6va2528uEiUflZ3fEBqWT2Hw0NIWqUYnTeog.PNG/05_04.png)
주간 전망 리포트는 한경컨센서스 내에 ‘시장’, ‘경제’ 부분에서 매주 금요일에 확인해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Ig/MDAxNjcwMjE4NTgxNjc5.wDVAB1PQjdRTTe5qSKmgbfE6RQqeECzlE_0hyBfjO_Ug.dq4IjvQmkPnkcpFydZrgQAXyp9OQIYcMwjYcb5V9WB0g.PNG/05_05.png)
그리고, 증권사별로 매월 말 혹은 월초에 다음 달 전략, 월간 전망의 리포트를 내놓습니다. 아래는 키움증권의 월간 전망입니다. 리서치, 경제/전략 내의 [월간증시전망]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jk5/MDAxNjcwMjE4NTk5NDYx.qBmX0j1v5GW7ggwFSFmZGP_UTXuppmpOgfnjxfq3fCcg.v_Gq7C7X_q6-gDBPa7y531OI6GJM0a2HqnetcPf7Kz0g.PNG/05_06.png)
또한, 증시 캘린더를 클릭하면 주요 나라의 경제지표 발표 일정,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실적발표 등과 같은 다음 달의 주요 일정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. 이를 잘 활용해서 시장의 변화에 대한 준비를 미리 해보시기 바랍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jg2/MDAxNjcwMjE4NjIxNDM2.plq58GQBx8H9vFokfCZ-2Qsn4IE3CjFSDDcun6VMB7Ug.K6kfzcAi6XS2TBQns7f9iz8qObQcQk7QGoeqT_UI5gEg.PNG/05_07.png)
이외에도 에프앤가이드의 컴퍼니 가이드(Company Guide)에 들어가시면 리포트의 제목과 두 줄로 요약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곳도 있습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jM3/MDAxNjcwMjE4NjQ4MDE3.uVIuYvWMRpp_2ksc42nhJ2IK1NOajrkTsWD8FR_o76Ig.GvI61cvdy4kV3OQRgB3mbKMFhsgn7HrAkVGHOe4bD80g.PNG/05_08.png)
해당 요약 리포트를 클릭하시면 기업 개요부터 경쟁사 비교까지 상세한 기업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니, 리포트를 찾는 시간도 아끼면서 관심 있는 종목에 대한 정보도 챙길 수 있을 것입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Mg/MDAxNjcwMjA1MTg1Nzk2.sEVs4WBdynoCltqmagfoO1hgzOf8bV50QYZ1IrVhVQkg.TVyE-7M7eOFXcIhp6gMrp3qIW0VE_iXEyxSetoJtlGwg.PNG/05_09.png)
이전에 좋은 리포트를 고르는 방법을 몇 가지 상식적인 기준으로 설명해 드렸는데요, 잘 기억하고 계시나요?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jk5/MDAxNjcwMjA1MTk4OTA4.dXPAbaP-NCQv2PEz8zGDZPaHLW4YhKBlczpFKqvvHAog.ClV9ttaX8HjwBfU2eZbU11JYgouphEJoOl6tWje9K44g.PNG/05_10.png)
네. 맞습니다. 열심히 공부하고 계시네요.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 (https://naver.me/Gh8PLJEx)
말씀하신 기준으로 좋은 리포트를 고르셨다면, 이제 제대로 보기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도 있는데요. 먼저 실적 데이터를 볼 때 유의해야 할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Q1/MDAxNjcwMjA1MjIxMjAw.T3B5UshiyKOc8kQFUkN4AIB8PVXFqUULLzZdUP7FFyUg.36Pwq_m9NJgFuRgVaiqyaKLz-iMEqLofWduJrwSfKPog.PNG/05_11.png)
과거 및 미래의 실적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‘2021A’와 ‘2022E’에서의 ‘A’는 실제 수치(확정치)라는 의미에서 ‘Actual’을 뜻하고, ‘E’는 추정, 전망치라는 의미에서 ‘Estimate’를 뜻합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NzIg/MDAxNjcwMjE4NzMzMzIy.RLp1it4Ic_F910t6Zd0lTJi7zZzu4K18A-VoNU0qJ24g.tk2iENKQ2nCHYXBYG8sjx9ziv7r1XET19YZQZL71fGQg.PNG/05_12.png)
이 실적을 통해 주식의 적정 가치를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. 바로 주당순이익(EPS), 주가수익비율(PER), 자기자본이익률(ROE),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하는 EV/EBITA 등의 투자지표입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g0/MDAxNjcwMjA1MjU4MzAw.E0LiDfxRXK1zKiEEVXICnuAEbgXqtnYTOzBEzY02crEg.weW-KPV3qOLdn6L0hVgxxE9Z-64hXzHlc3bLspZk6xQg.PNG/05_13.png)
EPS, ROE는 높으면 좋지만, PER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. 오히려 높으면 주가가 비싸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.
증권사 리포트를 처음 접할 때 상당 수준을 필요로 하는 전문 용어 때문에 다들 어려워하시는데요. 지금 말씀드리는 4가지 용어는 꼭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. 앞으로도 계속해서 나오는 중요 용어이니까요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k0/MDAxNjcwMjA1Mjg0MzIx.yRNuuBXOW0KXAjFWRCw0Oh1MYQsBn89TRqJlcHkqZ84g.8veStvUG3VcaKps0flJN2PQtjvIV9TGg7SZjtJRDT5cg.PNG/05_14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Qw/MDAxNjcwMjE4Nzc0Mjkx.-O13inzxp0pDxvywga0ZA_fz_r-zVb7dh6q_kIKLGXIg.YLHQ6FxLcjGANpWwULxfyIac707E87AbzVjWnbts1YAg.PNG/05_15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jAx/MDAxNjcwMjE4Nzc4ODQw.82pylnNDRsBi4VmWNkmeZsUDXWbUl4qB0UGaPDJybmkg.KjVw_0Alg7D5p2qPVZ6Qbmnbv5xOqHYg3IPt-rXJUFMg.PNG/05_16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U4/MDAxNjcwMjE4ODAyNzAw.tHmRZ6aPwF0HB7fpZ8bXKn1X9pweawv1mVVOibPmlg4g.B3TQXURkcN33Raz7NuRsgK91FbzsZYTvCMBMUADOAzYg.PNG/05_17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U0/MDAxNjcwMjE4ODA3Mzgz.UpxpveLW9clA2xAbDVLSLxWwQVdqXiVRT3O5Xso_Cf0g.B9xVw-kQ2ofjqtBsGjzyZ_iz-lWzKEU_TndXvDT7faYg.PNG/05_18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Ay/MDAxNjcwMjA1MzY2NjY2.dtVkHsM1DA4OzVKaD-PGR19Y2v5KfhfWOCyLGpnrJt8g.cpfkUESY9ajNb70WcHw0lC9TnM464c9JYS_e6rWmJisg.PNG/05_19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kw/MDAxNjcwMjA1MzgwMTcy.jXqw5AoPBcogCd-Qq3uR2OroPJzUZm-3GX43JcFSJb0g.Z4V848cNmxtU7MLmiHGwss3n0ny1RjN6NdOaayEVTwcg.PNG/05_20.png)
목표주가와 현재 주가의 차이를 괴리율로 표현하고는 하는데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해당 리포트를 작성한 애널리스트가 제시한 목표주가의 추이가 더 중요합니다. 변화 추이를 참고하는 것이 더 신뢰할 만하다는 것이지요.
모든 리포트에 목표주가가 제시되어 있지는 않습니다. 투자의견, 목표주가가 없는 리포트도 의외로 많다는 것도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여기서는 일단 목표가가 제시되어 있는 리포트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. 목표주가가 현 주가와 비교 시 많이 높게 제시되었건(괴리율 40% 이상), 평이한 수준 이건(괴리율 30% 미만) 해당 리포트를 작성한 애널리스트의 6개월~1년 치의 목표가 변화 추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Ag/MDAxNjcwMjE4ODQ1Mzg3.0puSweJcZMsR4xKeGSUeL8P59sTD2tR-S6RlccSD3Gcg.v9PWis7j6U7vYKLeivsInTWhqRKcd7FkNZSbKO3c0WIg.PNG/05_21.png)
위 내용은 8장 분량의 리포트에서 5페이지에 있는 목표주가 추이입니다. 보통 목표주가 추이는 리포트의 마지막 부근 정도에 위치해 있습니다.
이와 같은 목표가 변동내역을 확인해서 알 수 있는 것은 갑자기 목표주가를 높인 것인지, 꾸준히 높여온 것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. 또한 목표주가는 큰 변화가 없었으면서 투자의견만 보유 혹은 매수 등의 변화만 있었는지 등도 알 수 있습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TA2/MDAxNjcwMjA1NDQzMzA2.GV_IOp0KQy_tmUGa1vyX_DsucnGlPT0DzrcapmAutNIg.gi6nVsYzF4GPOr-0rHWBY8zyojJEyP24I_1YJ-mNMiEg.PNG/05_22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Mjkz/MDAxNjcwMjA1NDU3MTc3._ZcXsxqcZO664T6bPl2t6kNhYCo_HOqmUjZ3GFlY7KYg.QFz5lRYyh8et4F5Wj41-vOVRBqMNtZjbYYUf-KuqDEwg.PNG/05_23.png)
그리고, 기존과 다른 새로운 애널리스트가 담당하며 신규 리포트로 내놓은 것인지 등도 확인이 필요합니다.
예를 들어서 한 기업에 대해서 2년 정도 꾸준히 리포트를 출간했던 기존의 A 애널리스트는 회사를 떠나고 없고, 새로운 애널리스트 B가 담당하게 되어 목표가를 매우 높게 제시했다면 여러 고민이 필요하지 않을까요?
시장 상황이 좋아서 높게 제시한 건지,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타 증권사의 목표가 확인을 위해서라도 최소 1~2곳 이상의 리포트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.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yMDVfNTMg/MDAxNjcwMjE4ODkyOTI2.U7vKr4DL-PFi52KgjxQp81nsiUukmZaWBP5MPcuvAeog.epSECQ6zssNQ1c_zRkb5mEm9gclVEnaPzQBqCyafgVEg.PNG/05_24.png)
![](/download?file=CKEDITOR%2F2022-11-16%2Fe98cf851e9e64404b68ec0849997a8a0.png)
<시리즈 콘텐츠 보러가기!!!>
![](/download?file=CKEDITOR%2F2022-11-16%2Fe98cf851e9e64404b68ec0849997a8a0.png)
![](/webbook_img?file=webbook/MjAyMjExMDNfMjcz/MDAxNjY3NDY2MDg5NTkz.v2a0uwZIHFZL65t_81jwrZ0QbQkt6WgYXHp8EMrmM3kg.YTyFQXloXEn_pAREUkKRrxTYP5bykJcoFx7QTZ7EKBIg.PNG/brown%28s%29.png)
![](/download?file=CKEDITOR%2F2022-11-16%2Fe98cf851e9e64404b68ec0849997a8a0.png)
- 본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금융상품 및 시장 정보 등을 이용하여 투자를 했을 시 발생하는 손실의 귀책사 유는 이용자에게 귀속되오니 투자는 이용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신중히 결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 본 콘텐츠의 일부 내용을 인용하거나 발췌하려면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.
![](/download?file=CKEDITOR%2F2022-11-16%2Fe98cf851e9e64404b68ec0849997a8a0.png)
댓글작성